Computer Science

[CS / 네트워크] OSI 7 계층

마볼링 2022. 6. 24. 17:49

OSI 7계층

  •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을 말합니다.
  • 계층을 나눈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이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    • 흐름을 한눈에 알아보기 쉽고,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고, 7단계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들이지 않고도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칠수 있기 때문입니다.

  • 1계층 - 물리계층(Physical Layer)
    • 전기적, 기계적,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
    • 데이터 전송 단위 : 비트
  • 2계층 - 데이터 링크계층(DataLink Layer)
    • 물리게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활
    • 데이터 전송 단위 : 프레임
  • 3계층 - 네트워크 계층(Network Layer)
    •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당하는 기능(라우팅)
    • 데이터 전송 단위 : 패킷(packet)
  • 4계층 -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
    •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계층
    • 포트를 열어서 응용프로그램들이 전송을 할 수 있게 해준다(보통 TCP 프로토콜)
    • 만약 데이터가 왔다면 4계층에서 해당 데이터를 하나로 합쳐서 5게층에 던져준다
    • 데이터 전송 단위 : TCP 일 때 Segment / UDP 일때 Datagram
  • 5계층 - 세션 계층(Session Layer)
    • 데이터가 통신하기 위한 논리적인 연결
    • 양 끝단의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
    • 데이터 전송 단위 : 메시지(message)
  • 6계층 - 표현 계층(presentation Layer)
    • 데이터 표현이 상이한 응용 프로세스의 독립성을 제공하고, 암호화 한다.
    • 데이터 전송 단위 : 메시지(message)
  • 7계층 -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
    • 사용자 프로그램의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
    • 데이터 전송 단위 : 메시지(message)